[Python] range함수 사용법
1. range(10) >>> 0, 1, 2, 3, 4, 5, 6, 7, 8, 9 2. range(1,11) >>> 1, 2, 3, 4, 5, 6, 7, 8, 9, 10 3. range(0, 20, 2) >>> 0, 2, 4, 6, 8, 10, 12, 14, 16, 18 4. range(20, 0, -2) >>> 20, 18, 16, 14, 12, 10, 8, 6, 4, 2
[Python] 순열, 중복순열, 조합 구현하기 (no itertools)
파이썬에는 자체적으로 내장된 itertools 패키지의 combinations 모듈과 permutations 모듈을 이용해 간단히 순열과 조합을 구할 수 있다.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모듈을 이용하지 않고 직접 구현을 해보자. #순열입력 예시3 21 2 3출력 예시[[1, 2], [1, 3], [2, 1], [2, 3], [3, 1], [3, 2]]Solution n, r = map(int, input().split())graph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def perm(arr, r): result = [] if r == 1: for i in arr: result.append([i]) elif r > 1: for..
[Python] 집합 자료형
집합 자료형을 만드는 방법 >>> s1 = set([1,2,3]) >>> s1 {1, 2, 3} >>> s2 = set("Hello") >>> s2 {'e', 'H', 'l', 'o'} 집합 자료형의 특징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. 순서가 없다(Unordered). 리스트나 튜플은 순서가 있기(ordered) 때문에 인덱싱을 통해 자료형의 값을 얻을 수 있지만 set 자료형은 순서가 없기(unordered) 때문에 인덱싱으로 값을 얻을 수 없다. 딕셔너리 역시 순서가 없는 자료형이라 인덱싱을 지원하지 않는다. 만약 set 자료형에 저장된 값을 인덱싱으로 접근하려면 다음과 같이 리스트나 튜플로 변환한후 해야 한다. >>> s1 = set([1,2,3]) >>> l1 = list(s1) >>> l1 [1, 2..